DDR4 2133 -> 3200 국민 램 오버 클럭 성공 (w/ Ryzen 5600, B550M-PRO4)
본문 바로가기
알뜰살뜰 생활 팁

DDR4 2133 -> 3200 국민 램 오버 클럭 성공 (w/ Ryzen 5600, B550M-PRO4)

by HappyMDN 2022. 12. 10.
반응형

아래 포스팅했던 와이프 컴퓨터 업그레이드 후 램 오버 클럭 도전 및 성공 후기.

 

알리 익스프레스 라이젠 5600 & 5700x 구매, 컴퓨터 업그레이드

컴퓨터 성능에 큰 욕심이 없는지라 굉장히 오래된 컴퓨터를 불만 없이 쓰고 있었는데 11월 광군절 행사로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비교적 최신 CPU인 라이젠 5600을 저렴하게 판매한다길래 낼름 구매

happymdn.tistory.com

 

와이프 컴퓨터에는 중고 매물로 구한 DDR4 2133 8G 램 4개가 꽂혀있는데 와이프는 램 클럭이 높든 말든 본인은 신경 안 쓴다고 했으나 괜한 내 욕심으로 램 오버에 도전해보았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국민오버라고 불리는 설정값이 있었고 해당 설정을 따라해보니 2133 MHz에서 3200 Mhz로 50%의 클럭 상승에 성공하였음.

참고로 CPU는 라이젠 5600, 메인보드는 애즈락의 B550M-PRO4를 사용중인 환경에서 오버클럭을 진행.

램 오버 클럭 성공

램 오버클럭에는 램 4개 구성보다는 램 2개 구성이 유리하고 삼성 램의 경우 B다이가 오버 수율이 좋다는 말이 있어서

와이프 컴퓨터는 E다이 2개, D다이 1개, B다이 1개로 램 4개 짬뽕 구성이라 잘 안될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으나 극단적인 오버클럭이 아니어서인지 문제없이 성공할 수 있었다.

B다이, D다이, E다이 제각각인 램 4개 짬뽕 구성

 

아래는 램 오버클럭에 사용한 바이오스 설정값.

램 오버 설정 및 안정화 테스트 이후에 캡쳐해서 내가 이미 입력해놓은 설정값이 보이는데 처음 설정값은 대부분 "자동"으로 되어있던 것 같다.

 

1. DRAM 주파수를 DDR-3200으로, DRAM Voltage를 1.35로 변경.

일반적으로 DDR4 램의 전압은 최대 1.35까지가 권장된다고 하는듯.

 

2. DRAM 타이밍 구성으로 진입하여 램 타이밍 설정.

사실 뭐가 뭔지는 나도 모르지만 램 퍼포먼스에 대세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CL값이라고 하며 낮을수록 유리하다고 함.

 

아무튼 국민 오버라고 불리는 값을 참고하여

tCL의 값은 16,

tRCDRD & tRCDWR & tRP의 값은 18,

tRAS의 값은 42,

tRFC의 값은 520,

Command Rate는 1T로 설정해주었다.

tCL, tRCDRD, tRCDWR, tRP, tRAS 설정
tRFC 설정
CR은 1T로 설정

 

위와 같이 설정을 마친 후 정상적으로 부팅 및 윈도우에 진입되길래 램 오버 안정화 테스트를 진행했다.

혹시라도 바이오스 설정 후 컴퓨터 부팅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다면 바이오스 초기화를 해주어야 함.

(메인보드에서 배터리를 제거했다가 다시 장착하거나 CLR CMOS 쇼트 등)

 

램 오버 안정화 관련 프로그램은 여러개가 있는 것 같은데 TM5를 사용하였음.

아래는 문제없이 통과한 TM5 테스트 결과로 본 테스트 이후 와이프는 문제없이 컴퓨터를 잘 사용하고 있다.

 

사실 와이프는 램 오버클럭 효과를 못 느끼겠다고는 하는데 컴퓨터 성능이 조금 더 좋아졌다는 내 정신적 만족감이 큰 것 같고 다음에 짬이되면 CPU 오버에도 도전해봐야겠음.

 

이상 DDR4 2133 램 오버클럭 포스팅 끝.

728x90
반응형

댓글